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3대 패션 전문 플랫폼의 시작: 지그재그, 무신사, 에이블리

산업 분석

by 호박너구리의 블로그 2023. 8. 2. 09:00

본문

요즘은 옷을 구매하려면 오프라인이나 개별 온라인 쇼핑몰보다는, 다양한 스토어를 모아놓은 패션 전문 앱으로 향하는 것이 꽤 일반적인 세상이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포화 상태로 향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장이 그렇듯, 우리 주변의 다양한 패션 전문 앱은 점점 더 많은 기능, 더 많은 셀렉션을 뽐내며 서로 비슷비슷한 모양새로 변화하고 있죠. 하지만 각각의 앱은 서로 다른 뿌리에서 시작된 서비스이기 때문에, 그 출발점을 안다면 유사성 사이의 미묘한 차별성이 눈에 들어올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현시점의 패션 전문 앱 3대장으로 꼽히는 지그재그, 무신사, 에이블리 세 서비스의 시작점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지그재그

세 개의 서비스 중 가장 먼저 패션 전문몰로서의 입지를 다진 것은 지그재그입니다. 지그재그는 2015년 6월에 시작된 서비스로, 그 시작은 사실 커머스 플랫폼이라기보다는 다양한 동대문 쇼핑몰의 정보를 끌어와 보여주고 유저들이 원하는 쇼핑몰을 저장해 둘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웹 포털 같은 서비스였습니다. 당시 대부분 이용자들의 쇼핑 플로우가 (1) 인터넷상에서 원하는 쇼핑몰을 찾은 후 (2) 이를 북마크에 저장해 두고 방문하는 것이었기에, 지그재그는 이러한 이용 흐름을 앱 상으로 충실히 옮겨주는 서비스로서 첫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그리고 취향에 맞는 쇼핑몰을 찾고 보관해 둘 플랫폼을 필요로 하던 이용자들의 가려움을 정확히 긁어준 덕분에, 지그재그는 엄청난 입소문과 함께 금세 20대 여성들의 쇼핑 필수 앱으로 떠올랐습니다.

 

지금의 지그재그는 Z페이, 직진 배송으로 무장한 편리한 이커머스 플랫폼이자 브랜드 의류, 뷰티 및 라이프 상품 등 다양한 커버리지를 갖춘 올인원 커머스 플랫폼이 되어가고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지그재그 앱에서는 그 뿌리가 드러나고 있습니다. 먼저, 지그재그, 에이블리, 무신사 세 앱의 하단 탭을 살펴보면 지그재그에만 [스토어]라는 탭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그재그가 초창기에 각광받았던 이유는 (1) 쇼핑몰 랭킹을 통해 원하는 스토어를 금방 찾을 수 있게 해주고 (2) 그 스토어를 편하게 즐겨찾기해두고 다시 찾을 수 있다는 점이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러다보니 현재의 앱에서도 [스토어] 탭의 ‘랭킹’과 ‘즐겨찾기’를 통해 스토어의 관계를 발견하고 정립할 수 있는 채널을 남겨둔 것입니다. 그리고 지그재그가 최근에 패션 플랫폼 최초로 ‘스토리’ 기능을 개발해 셀러가 팬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독려한 것도 그 시작점에 위치했던 ‘셀러와의 관계' 중심의 서비스 정체성을 이어가려는 움직임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지그재그가 현상황에서는 브랜드, 뷰티, 라이프 등 다양한 상품군을 갖춘 커머스 플랫폼이 되었음에도 여전히 ‘소호 중심 쇼핑몰’로 각인되고 있는 것을 보면, 동대문 쇼핑몰 기반으로 시작했던 첫 발걸음이 계속해서 앱의 정체성을 규정짓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그재그 화면 캡처

 

2. 무신사

패션 앱으로서의 무신사의 시작은 지그재그보다 뒤였지만(2017년), 무신사의 시작점은 2001년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 ‘무신사(무진장 신발 사진이 많은 곳)’였습니다. 무신사 역시 처음부터 커머스 기업이 아니었다는 점에서는 지그재그와 동일하지만, 무신사의 경우 패션 ‘커뮤니티’였다는 점에서 뿌리가 전혀 달랐습니다. 그리고 신발 덕후들을 위해 시작된 만큼 한정판 브랜드 신발이나 국내에서 찾아보기 드문 해외 스트리트 브랜드 제품 사진이 많은 커뮤니티였다고 하는데요, 여기까지만 보더라도 현재 무신사가 가진 ‘브랜드, 디자이너 패션 큐레이션’ 분야의 독보적인 위치를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게다가 무신사는 패션 스토어로 전환하기 이전에 먼저 패션 매거진 ‘무신사 매거진’으로 사업을 확장했습니다(2005년). 즉, 무신사는 창업 초창기 10년 정도는 이커머스 기업보다는 패션 콘텐츠 기업의 성향이 더 강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을 알고 나면 어떻게 해서 무신사가 지그재그, 에이블리와는 다른 독특한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현시점 무신사의 차별점이라 하면 (1) 고른 남녀 유저 비율, (2) 독보적인 콘텐츠 기반 큐레이션, 그리고 (3) 브랜드 및 디자이너 상품 전문몰이라는 이미지가 있을 것 같은데요. 먼저, 원래부터 무신사는 신발 덕후를 위한 커뮤니티로 시작했기에 여성 타겟보다는 중성적인, 혹은 오히려 좀 더 남성적인 이미지로 시작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물론 초기 유아인 모델의 광고 캠페인도 큰 몫을 했겠지만요.) 그리고 무신사는 시작점이 패션 콘텐츠 기업이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브랜드 제품 소개에 강점을 가지고 있었기에 현재도 그 노하우를 이어 ‘콘텐츠' 및 ‘브랜드/디자이너 상품군' 측면의 강점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무신사 화면 캡처

 

3. 에이블리

에이블리는 2018년 1월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앱으로, 위 두 앱에 비하면 후발주자에 속합니다. 다만, 무신사 앱의 전신이 ‘무신사 커뮤니티'와 ‘무신사 매거진’이듯, 에이블리에도 앱 출시 이전에 이미 그 전신인 서비스가 있었습니다. 바로 ‘반할라’라는 쇼핑몰인데요. 사업의 시작이 탐색 플랫폼이나 콘텐츠 기업이 아닌 ‘쇼핑몰’이었다는 점에서 벌써 무신사와 지그재그와는 다른 시작점을 보입니다. 반할라는 동대문 도매시장에서 옷을 사입해 직접 판매하던 업체였기 때문에, 에이블리의 창업자들은 이미 에이블리 서비스 시작 전부터 쇼핑몰 운영에 필요한 물류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창업 초기 이야기에서 바로 현재 에이블리가 가진 ‘셀럽 마켓’이라는 강점의 출처를 알 수 있습니다. 에이블리는 이미 사업 물류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었기에, 2017~2018년경 SNS 인플루언서 기반의 패션 소비 트렌드가 떠오를 때, 이를 금방 서비스화할 수 있었습니다. 이미 보유하고 있는 사입 물류 네트워크가 있었기에 개인 인플루언서들이 직접 쇼핑몰을 운영하지 않고도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었던 것인데요. 개인 인플루언서들은 팔고 싶은 옷을 골라 셀카 이미지를 올리기만 하면 되고, 소비자가 그 옷을 구매하면 에이블리가 직접 동대문에서 해당 의류를 사입해 소비자에게 배송하고 인플루언서에게 매출의 일정 비율을 지급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에이블리에 타 플랫폼에는 없는  ‘셀럽 판매 상품'이라는 구분이 별도로 존재하게 된 이유가 바로 이러한 배경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에이블리는 ‘인공지능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발 빠르게 도입했다는 소식으로도 유명한데요, 이 배경 역시 창업 비하인드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강석훈 대표는 ‘왓챠’ 공동창업자 출신으로, 왓챠의 공동창업자 2명과 함께 왓챠를 퇴사한 후 반할라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왓챠’가 개인화 콘텐츠 추천 서비스로 시작된 점을 감안하면 에이블리에서 개인화 추천을 발 빠르게 구현할 수 있었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을지도 모릅니다. 

 

에이블리 화면 캡처

 

오늘은 지그재그, 무신사, 에이블리의 창업 스토리와 그 시작점이 현재까지의 서비스에 미치고 있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어떠한 기업이든지 점점 커지면서 필연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밖에 없지만, 확실히 서비스 시작 당시의 목표와 정체성은 지속적으로 미래 방향에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덕분에 저도 다시 한번 초기 스타트업의 창업가로서 앞으로 어떤 미래를 만들어나가고 싶은지 깊이 고민하면서 서비스의 초기 모습을 그려나가야겠다는 다짐을 할 수 있었습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