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너구리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호박너구리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131)
    • 스타트업 서비스 리뷰 (5)
    • 개발 (35)
    • 산업 분석 (43)
    • 기업 분석 (22)
    • 경제 및 경영 (10)
    • 기술 이해하기 (2)
    • 호박너구리 일상다반사 (8)
      • IT템 리뷰 (4)
      • 연세대 일상 (2)
    • 기타 (6)

검색 레이어

호박너구리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aws

  • NodeJS 이미지 업로드 기능 만들기 (AWS S3 활용하기)

    2022.01.30 by 호박너구리의 블로그

  • AWS란? 클라우드와 AWS의 기본 개념 알아보기

    2020.06.03 by 호박너구리의 블로그

NodeJS 이미지 업로드 기능 만들기 (AWS S3 활용하기)

보통 초심자가 백엔드 개발을 하는 과정을 보면, 두 부분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 같습니다. 바로 회원가입/로그인, 그리고 이미지 업로드 기능인데요. 오늘은 AWS s3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AWS S3 버킷 생성하기 서비스를 만들 때 얼마나 많은 이미지가 업로드 될 지 모릅니다. 그래서 우리는 보통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데요, 아마 개발자 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AWS일 것입니다. 그 중에서 S3는 비디오, 이미지 등의 파일을 저장해두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죠. (참고자료. 클라우드와 AWS의 기본 개념) AWS 계정을 생성하고 S3를 검색하면, 버킷이라는 페이지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곳에서 '버킷 만들기'를 눌러서 버킷을..

개발 2022. 1. 30. 20:28

AWS란? 클라우드와 AWS의 기본 개념 알아보기

AWS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번 포스트는 기본적으로 AWS가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라는 것을 알고 클라우드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 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클라우드란] 그래도 AWS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클라우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클라우드 서비스란 컴퓨터가 가상의 공간(클라우드=하늘)에 있다고 가정하고 자유롭게 쓰는 것이다. (말이 가상의 공간이지, 사실 실제로 매우 큰 데이터센터를 지어놓고 프로그램으로 그 리소스를 갖다 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구글 드라이브가 있겠으나,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중에서 SaaS(Sofeware as a service)라고 클라우드 하드웨어, 운영체제, 프로그램까지 다른 곳에 있고 서비스만 가상 공간에서 갖다..

기술 이해하기 2020. 6. 3. 10:44

추가 정보

최신글

250x250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개인 웹사이트
호박너구리 블로그 © 호박너구리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